필립스곡선은 명목 임금과 실업률 간의 관계를 설명하며, 경제정책의 중요 이론으로 간주되었으나, 스태그플레이션과 같은 예상치 못한 현상은 필립스곡선의 한계를 드러내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초기 이론과 스태그플레이션, 필립스곡선의 예측과 한계,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필립스곡선 초기 이론과 스태그플레이션
필립스곡선 초기 이론
경제학자 윌리엄 필립스: 1958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명목 임금 상승률과 실업률 간의 부(-)의 상관관계를 제시. 이론은 명목 임금이 상승하면 실업률이 감소하고, 명목 임금이 하락하면 실업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 단기적으로는 물가와 고용 수준 간의 트레이드오프를 설명하며, 정부는 고용률과 물가 안정을 동시에 추구할 수 없다는 관점을 제시.
스태그플레이션
1. 스태그플레이션의 정의
1970년대 초반, 경제학에서는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가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로 "스태그플레이션"이 등장.
2. 스태그플레이션의 특징
- 인플레이션 상승: 물가가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
- 실업률 상승: 동시에 고용 수준이 감소하며 실업률이 상승. 경기 침체: 통상적으로 경기가 둔화되는 상황.
스태그플레이션의 이론적 문제
- 이론적인 도전: 스태그플레이션은 필립스곡선의 초기 이론과는 어울리지 않는 현상으로 여겨짐. 필립스곡선에서는 물가 상승과 실업률 간의 상충 관계가 있을 뿐, 둘 다 동시에 상승하는 현상은 예상치 못한 도전임.
스태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
- 오일 쇼크의 영향: 1970년대 초반, 중동에서의 정치적 이벤트로 인한 석유 가격 급등이 스태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 석유 가격 상승으로 생산 비용이 증가하면서 기업들은 물가를 올릴 수밖에 없었으며, 이는 경제 전반에 인플레이션을 초래했습니다.
필립스곡선의 예측과 한계
1. 단기 예측과 부적응적 기대
- 초기 예측력: 필립스곡선은 단기적으로는 명목 임금과 실업률 간의 음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 부적응적 기대: 그러나 경제 주체들이 적응적 기대를 가지면서 미래의 물가와 임금을 예측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어 예측력이 저하됩니다.
2. 장기적 예측의 어려움
- 적응적 기대와 장기 필립스곡선: 적응적 기대로 인해 장기적으로는 명목 임금과 물가가 함께 상승하며 실업률도 증가할 수 있어, 장기적 예측이 어려워집니다.
- 자연 실업률의 개념: 필립스곡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자연 실업률개념이 도입되었습니다
3. 스태그플레이션과 예측의 불일치
- 오일 쇼크와 스태그플레이션: 1970년대의 오일 쇼크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은 필립스곡선이 경제의 예상치 못한 변화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경제의 구조적 변화: 구조적 변화와 외부 충격은 예측 모형을 도전하며, 경제의 복잡성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
4. 합리적 기대의 강조와 정책 효과
- 합리적 기대 이론: 경제 주체들이 합리적으로 예측하는 능력을 강조한 합리적 기대 이론은 예측된 정책의 효과가 감소하고 정책 무력성을 초래할 수 있다고 제안.
- 정책의 한계와 조절의 어려움: 경제 정책은 예측 가능성이 낮은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음.
5. 정책적 대응과 통화정책의 중요성
- 통화정책의 역할: 통화정책은 스태그플레이션과 같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응하면서 경제의 안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
- 적응 가능한 정책: 경제주체들의 합리적 기대를 고려하여 적응 가능한 정책이 필요.
문제점
필립스곡선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습니다.
1. 오일 쇼크와 예측의 어려움
1970년대에는 석유 가격의 급증으로 인한 오일 쇼크가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면서 실업률도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했는데, 이는 필립스곡선이 오일 쇼크와 같은 외부 충격에 취약하다는 것을 시사했습니다.
2. 적응적 기대의 도입
1970년대 후반 이후, 경제학자들은 적응적 기대 개념을 도입하면서 필립스곡선의 안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경제 주체가 미래의 물가를 예측할 때 이전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적응적 기대는 단기적인 상충관계를 파괴하는 요인이 됩니다.
3. 자연 실업률의 도입
신자유주의 이론에서는 자연 실업률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경제가 이미 자연 실업률에 도달했다는 주장으로, 명목 임금의 상승이 물가 상승과 실업률 감소를 동시에 이루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했습니다.
4. 장기 필립스곡선의 상승
필립스곡선은 단기적으로는 물가와 실업률 간의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장기적으로는 자연 실업률 수준에서 수직이 됩니다. 이는 장기적으로는 정책의 영향으로 물가와 고용 수준을 동시에 제어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5. 합리적 기대의 강조
새로운 경제학의 발전으로 인해 합리적 기대 이론이 강조되면서, 경제 주체들이 모든 정보를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예측한다는 전제가 도입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예측되는 물가 상승과 실업률 간의 상관관계가 단기 필립스곡선에서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변동하게 됩니다.
6. 급격한 정책 변화와 물가 안정성
1980년대의 급격한 물가 안정화 정책으로 미국 등에서는 물가 안정성이 증가하였습니다.
결론
필립스곡선은 초기에는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끼쳤으나, 시대의 변화와 경제 충격에 적응하지 못해 예측력이 약화되었습니다. 새로운 경제학 학파들은 필립스곡선이 정책무력성을 나타내며 단기적 상관관계를 지니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경제 정책의 효과를 더욱 복잡하게 이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투자방법 (채권 종류, 시장의 흐름, 투자전망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11.16 |
---|---|
벌지 브래킷의 특징, 주요 은행 (다국적 투자은행의 중심) (0) | 2023.11.15 |
어닝쇼크의 예방과 극복 (주식시장의 불투명성, 주가의 충격) (0) | 2023.11.13 |
코스피 특징과 역사 (주식투자의 척도 코스피지수) (0) | 2023.11.12 |
퀵커머스 특징 (더 빠르게, 더 간편하게, 변하는 소비자 요구에 부응) (2) | 2023.11.12 |